음식166 자장면, 김밥, 우동 – 한국 외식문화의 시작과 대중화 오늘날 한국의 외식문화는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그 시작은 20세기 중반 서민 음식에서 비롯됐습니다. 자장면, 김밥, 우동 등은 한국인이 외식을 처음 경험하고 일상화해 가는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외식문화가 본격적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 1960~80년대 한국의 시대적 배경과, 대표적인 외식 메뉴들의 성장 과정을 조명합니다.자장면: 한국 외식의 아이콘이 되다한국 외식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자장면은 원래 중국 화교에 의해 도입된 요리로, 1950~60년대를 거치며 한국식으로 변형되어 대중화되었습니다. 특히 1960~70년대에는 자장면이 결혼식, 생일잔치, 입학식 같은 특별한 날에만 먹을 수 있는 ‘외식의 상징’이었습니다.서울 인천의 화교 중심 중화요리점에서 시작된 자장면은 점.. 2025. 3. 23. 한국 외식업계의 태동과 초기 프랜차이즈 역사 오늘날 전국 곳곳에서 볼 수 있는 프랜차이즈 음식점은 한국 외식산업의 성장과 함께 발전해온 결과입니다. 하지만 그 시작은 매우 소박하고 제한적인 환경에서 출발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한국 외식업계의 태동기와 초기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등장, 그리고 그것이 한국 식생활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정리합니다.산업화 시대, 외식의 필요가 커지다1960~70년대는 한국이 본격적으로 산업화와 도시화를 경험하던 시기로, 많은 사람들이 농촌을 떠나 도시로 몰려들면서 생활방식이 급변했습니다. 도시 노동자, 사무직 종사자, 학생 등은 집에서 밥을 챙겨 먹기보다는 밖에서 끼니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고, 이로 인해 외식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게 됩니다.초기 외식업계는 시장통 분식집, 국밥집, 김밥 노점 등 소규모 자영업 형태로.. 2025. 3. 23. 분식집과 국수 문화의 전성기 – 한국 음식의 시대별 변화 한국의 분식과 국수 문화는 단순한 저렴한 한 끼를 넘어서, 세대 간 공감과 시대적 배경이 녹아 있는 대중 음식입니다. 특히 1970~80년대는 분식집과 국수집이 전성기를 맞이하며 국민 식생활의 중심이 되었고, 오늘날에도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한국 음식문화의 전환점이 된 분식과 국수의 전성기를 시대별로 살펴봅니다.1970년대, 혼분식 정책과 분식집의 급성장1970년대는 한국이 식량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 주도로 ‘혼·분식 권장정책’을 펼쳤던 시기입니다. 쌀 대신 보리, 밀, 옥수수 등의 곡물을 섭취하도록 권장했으며, 특히 밀가루로 만든 국수나 수제비, 칼국수 등 분식류가 집중적으로 소비되었습니다.이 정책은 국민 식생활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분식 전문 음식점의 급증으로 .. 2025. 3. 23. 한국이 과거 보릿고개를 지나며 바뀐 주로 먹는 음식의 소비 구조 보릿고개는 한국 현대사에서 극심한 식량난을 상징하는 단어로, 봄철 보리가 익기 전 지난 해의 쌀과 잡곡이 바닥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이 고비를 넘기면서 한국은 식량 자급과 주식 소비 구조에 커다란 변화를 겪었고, 이는 식문화 전반에 깊은 영향을 남겼습니다. 본 글에서는 보릿고개 이후 한국의 주식 소비 구조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살펴봅니다.보릿고개란 무엇인가: 생존을 위한 식사보릿고개는 1950~1970년대 초반까지 매년 반복되던 계절적 식량난으로, 겨울 저장 식량이 모두 떨어지고 보리는 아직 수확되지 않은 4~5월 사이에 집중되었습니다. 당시 농촌은 쌀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웠고, 도시 역시 물자 수급이 원활하지 않아 전국적인 식량 부족 현상이 일어났습니다.이 시기 국민들은 생존을 위해 보리밥, 감자, .. 2025. 3. 22. 1970년대 산업화에 따른 공장 노동자와 도시 직장인의 점심 문화 1970년대는 한국 산업화의 본격적인 시작점이자, 도시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던 시기였습니다. 공장 노동자와 사무직 직장인은 각기 다른 업무환경 속에서 점심 식사를 해결해야 했고, 이 과정에서 독특한 점심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산업화 시대 한국의 도시 노동자들이 어떤 방식으로 점심을 먹었는지, 그 변화의 배경과 의미를 살펴봅니다.공장 노동자의 도시락과 식당 풍경1970년대 중반, 경제 개발 계획에 따라 전국 곳곳에 공단이 조성되었고 수많은 청년층과 농촌 인력이 도시로 몰려들었습니다. 이들은 주로 섬유, 조립, 가전제품 등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일하며 하루 8시간 이상의 노동을 견뎌야 했고, 점심은 매우 제한된 시간 안에 해결해야 했습니다.공장 노동자들의 주된 점심 형태는 도시락이었습니다. 하루.. 2025. 3. 22. 한국 정부의 ‘혼분식 권장정책’과 국민의 식생활 변화 1970년대는 한국이 식량 자급에 어려움을 겪던 시기로, 정부는 식량 수급을 안정화하기 위해 ‘혼·분식 권장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이 정책은 단순한 식단 개조를 넘어서, 국민의 식습관과 외식 문화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본 글에서는 혼분식 권장정책의 배경과 그로 인한 국민 식생활의 변화, 그리고 이 정책이 남긴 의미를 살펴봅니다.혼·분식 권장정책의 탄생 배경1960~70년대 한국은 경제 개발의 초입 단계에 있었으며, 쌀을 포함한 주식 자원의 수급이 매우 불안정했습니다. 특히 1970년대 초반, 세계적인 곡물 파동과 국내 기상이변이 겹치면서 쌀 생산량이 급감했고, 식량 자급률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쌀 소비를 줄이고 보리, 밀가루, 옥수수 등 다른 곡물로 식사를 대체하는 ‘혼식’과.. 2025. 3. 22. 이전 1 2 3 4 5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