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

1970년대 시장과 길거리 음식: 떡볶이, 순대, 어묵 등 분식 인기시대

by 음식 연구- 2025. 3. 20.

1970년대 한국의 시장과 길거리는 서민들의 활기찬 삶의 중심지였습니다. 특히, 다양한 길거리 음식들이 시장을 가득 메우며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았습니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으로는 떡볶이, 순대, 어묵이 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1970년대 길거리 음식 문화는 당시 경제적, 사회적 배경과 맞물려 성장하였으며, 현대 분식 문화의 기초를 형성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970년대 시장과 길거리 음식의 특징, 인기 메뉴, 그리고 그 문화적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1. 1970년대 시장과 길거리 음식 문화의 배경

1970년대는 한국 경제가 본격적으로 성장하던 시기였지만, 여전히 많은 서민들은 저렴하면서도 든든한 한 끼를 찾고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시장과 길거리에서 판매되는 음식들이 더욱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

길거리 음식 문화가 발전한 이유

  • 도시화와 산업화: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에서 바쁜 노동자들과 학생들을 위한 간편한 길거리 음식이 유행했습니다.
  • 경제적 요인: 외식이 부담스러웠던 서민들에게 저렴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길거리 음식이 인기입니다.
  • 혼·분식 장려 정책: 정부가 쌀 소비를 줄이기 위해 밀가루를 이용한 음식(떡볶이, 어묵, 라면 등)을 장려하였습니다.

당시 시장 주변이나 학교 앞에서 작은 노점들이 생겨나며, 길거리 음식 문화가 본격적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2. 1970년대 대표 길거리 음식 BEST 3

1) 떡볶이 – 국민 간식의 시작

떡볶이는 1970년대 길거리 음식의 대표 메뉴로 자리 잡았습니다. 오늘날의 매운 고추장 떡볶이와는 달리, 초기에는 간장 떡볶이가 더 흔했습니다.

당시 떡볶이의 특징

  • 재료: 밀떡(혼·분식 장려 정책의 영향), 간장 또는 고추장 소스, 어묵, 대파
  • 가격: 저렴한 가격에 배를 든든하게 채울 수 있어 학생들과 노동자들에게 인기였습니다.
  • 조리 방식: 즉석에서 떡과 소스를 볶아 따뜻하게 제공하였습니다.

고추장 떡볶이가 대중적으로 확산된 것은 1970년대 후반부터로, 매콤달콤한 맛이 입맛을 사로잡으며 전국적으로 퍼져 나갔습니다.


2) 순대 – 시장에서 즐기는 든든한 간식

순대는 1970년대 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 중 하나였습니다.

당시 순대의 특징

  • 재료: 당면과 선지를 넣은 순대가 주를 이루었습니다.
  • 곁들임 음식: 순대만 먹는 것이 아니라, 떡볶이 국물에 찍어 먹거나 간(돼지 간), 허파 등을 함께 제공하였습니다.
  • 소스: 소금과 막장(된장 베이스 소스) 또는 떡볶이 국물에 찍어 먹는 방식이 인기였습니다.

당시 순대는 시장에서 간단하게 배를 채울 수 있는 음식으로 각광받았으며, 술안주로도 인기가 높았습니다.


3) 어묵 – 따뜻한 국물과 함께하는 인기 메뉴

어묵(오뎅)은 일본에서 유래된 음식이지만, 1970년대 한국 시장과 길거리에서 빠르게 대중화되었습니다.

당시 어묵의 특징

  • 국물: 다시마와 멸치로 우려낸 뜨끈한 국물이 필수였습니다.
  • 어묵 종류: 긴 꼬치에 꽂아 국물에 담가두는 형태가 일반적이었습니다.
  • 가격: 저렴한 가격으로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었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어묵 국물 한 잔이 사람들의 몸을 따뜻하게 해 주며,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3. 길거리 음식 문화의 사회적 의미

1970년대 길거리 음식 문화는 단순히 배를 채우는 것을 넘어, 한국인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습니다.

① 서민 경제와 길거리 음식

길거리 음식은 당시 경제적으로 어려운 서민들에게 저렴하면서도 든든한 한 끼를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 시장 상인, 노동자,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식사가 되어주었습니다.
  • 자본이 적어도 창업할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노점상을 운영하며 생계를 유지했습니다.

② 사회적 교류의 장

시장과 길거리 음식점은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사람들과 소통하는 공간이었습니다.

  • 학생들은 학교 앞 분식집에서 친구들과 어울리며 간식을 즐깁니다.
  • 시장에서는 이웃 간의 정이 넘치는 장소로 활용하였습니다.

③ 현대 분식 문화의 시작

1970년대의 길거리 음식 문화는 이후 분식집이라는 새로운 외식 문화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1980년대 이후 분식 전문점(김밥, 떡볶이, 순대 판매점) 증가하였습니다.
  • 패스트푸드 형태의 한식 간편식 문화 발전하였습니다.

이처럼, 1970년대 길거리 음식은 현재 한국 분식 문화의 기반을 닦은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결론

1970년대 한국의 시장과 길거리 음식 문화는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사회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서민들에게 저렴하면서도 맛있는 음식을 제공하며, 지역 사회 내 소통의 공간이 되었습니다.

특히, 떡볶이, 순대, 어묵은 이 시기의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오늘날에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1970년대의 시장과 길거리 음식 문화를 되돌아보며, 그 속에 담긴 따뜻한 정과 한국인의 식문화를 다시금 느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길거리 음식은 계속 발전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뿌리는 여전히 1970년대의 시장과 길거리 음식 문화에서 시작되었음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1970년대 시장과 길거리 음식: 떡볶이, 순대, 어묵 등 분식 인기시대
1970년대 시장과 길거리 음식: 떡볶이, 순대, 어묵 등 분식 인기시대